728x90
24절기[ 二十四節氣 ]란,
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,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°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나타낸다.
- 네이버 두산백과
24절기는 왜 생겨난 것일까요?
24 절기는 과거 농경사회에서 날씨를 예상하는 데 도움을 주는 ‘농사 달력’의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.
절기의 이름을 보고 날씨를 짐작하여, 농민들은 농경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대비할 수 있었던 것이죠.
24절기의 유래
24 절기의 유래는 중국에서 전설상의 태평성대를 일컫는 요순(堯舜) 시대,
즉 요(堯) 황제가 24 절기를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.
실제로는 주나라 때 생겼다는 가설이 가장 유력하다고 합니다.
24 절기는 태양의 주기에 맞춰 날씨와 동식물의 변화를 나타내는 명칭을 붙인 것인데,
각 절기의 명칭은 황하유역의 기상의 변화를 연구한 주나라 사람들이 이름 붙인 것입니다.
중국은 우리나라보다 봄에는 더 빨리 따뜻해지고, 가을에는 더 늦게 추워지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.
그렇기에 24 절기가 대한민국의 기후와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고 하네요.
24절기표
봄 | 입춘(立春) | 2월 4일경 | 봄의 시작. | 315° |
우수(雨水) | 2월 19일경 | 눈이 녹기 시작하는 날. | 330° | |
경칩(驚蟄) | 3월 6일경 |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는 날. | 345° | |
춘분(春分) | 3월 21일경 | 밤보다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. | 0° | |
청명(淸明) | 4월 6일경 | 봄의 날씨가 가장 좋은 날. | 15° | |
곡우(穀雨) | 4월 21일경 | 봄비가 내리는 날. | 30° | |
여름 | 입하(立夏) | 5월 6일경 | 여름의 시작. | 45° |
소만(小滿) | 5월 22일경 | 볕이 잘 드는 날. | 60° | |
망종(芒種) | 6월 6일경 | 곡식의 씨앗을 뿌리는 날. | 75° | |
하지(夏至) | 6월 22일경 | 낮이 가장 긴 날. | 90° | |
소서(小暑) | 7월 8일경 |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되는 날. | 105° | |
대서(大暑) | 7월 23일경 | 1년 중 가장 더운 날. | 120° | |
가을 | 입추(立秋) | 8월 8일경 | 가을의 시작. | 135° |
처서(處暑) | 8월 23일경 |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날. | 150° | |
백로(白露) | 9월 8일경 |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날. | 165° | |
추분(秋分) | 9월 23일경 | 낮보다 길어지는 시작하는 날. | 180° | |
한로(寒露) | 10월 8일경 |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날. | 195° | |
상강(霜降) | 10월 23일경 |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날. | 210° | |
겨울 | 입동(立冬) | 11월 7일경 | 겨울의 시작. | 225° |
소설(小雪) | 11월 22일경 | 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날. | 240° | |
대설(大雪) | 12월 7일경 |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날. | 255° | |
동지(冬至) | 12월 22일경 | 낮이 가장 짧은 날. | 270° | |
소한(小寒) | 1월 6일경 | 1년 중 가장 추운 날. | 285° | |
대한(大寒) | 1월 21일경 | 1년 중 큰 추위. | 300° |
24절기는 양력일까, 음력일까?
24 절기를 포함하는 절기는 음력이 아니라 ‘양력’으로 계산합니다.
양력인데도 해마다 날짜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까닭은 지구 공전궤도 때문입니다.
728x90